반응형

리눅스에서 IP 주소 할당 및 네트워크 설정/변경하는 방법 4가지를 설명해보겠습니다.

 목차

1.    ifconfig 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IP 설정하기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 파일(eth0 )으로 설정하기

3.    GUI 모드 (system-config-network) 로 네트워크 설정하기

4.    X 윈도우 환경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과 X 윈도우 실행

 

1.     ifconfig 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IP 설정하기 

1.1 현재 네트워크 정보 확인

   리눅스시스템 네트워크 정보를 ifconfig 명령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IP 주소, subnet mask, broadcast 주소, MAC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yname@myhost ~]$ ifconfig
em1: flags=4163<UP,BROADCAST,RUNNING,MULTICAST>  mtu 1500
        inet 101.102.103.75  netmask 255.255.255.128  broadcast 101.102.103.127
        ether 14:fe:bb:cc:aa:13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68105617  bytes 100671258415 (93.7 G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2385151  bytes 227706193 (217.1 M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em2: flags=4099<UP,BROADCAST,MULTICAST>  mtu 1500
        ether 14:fe:bb:cc:aa:15  txqueuelen 1000  (Ethernet)
        RX packets 0  bytes 0 (0.0 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0  bytes 0 (0.0 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lo: flags=73<UP,LOOPBACK,RUNNING>  mtu 65536
        inet 127.0.0.1  netmask 255.0.0.0
        loop  txqueuelen 1000  (Local Loopback)
        RX packets 64  bytes 4834 (4.7 KiB)
        R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frame 0
        TX packets 64  bytes 4834 (4.7 KiB)
        TX errors 0  dropped 0 overruns 0  carrier 0  collisions 0

[myname@myhost ~]$

 

1.2 ifconfig 명령어 형식 

Config 명령어로 IP address, subnet mask, broadcast 주소를 설정합니다.

 

명령어 형식

# ifconfig [NIC 장치명] [IP 주소] netmask [서브넷마스크 주소] broadcast [브로드캐스트주소] up

# ifconfig eth0 101.102.103.75 netmask 255.255.255.128 broadcast 101.102.103.127 up

 

         설명
            [NIC 장치명] = eth0
            [IP
주소]
= 101.102.103.75
            [
서브넷마스크 주소] = 255.255.255.128
            [
브로드캐스트주소] =101.102.103.127
            up = up
또는 down 선택 가능

         주의할 점
             CLI
모드 ($ 또는 # 프롬프트) 상태에서 ifconfig 명령으로 IP 주소를 설정하면,
            
시스템 메모리 상에 저장되어 동작하지만, 휘발성 상태이기 때문에 서버 재시작을 하면
            이 내용은 사라집니다.

            그래서, 서버 재시작 후에도 영구적으로 설정 변경하려면
            아래 2 번과 같이 설정 파일을 이용하여 설정해야 합니다.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 파일(eth0 등)으로 설정하기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설정은 이 방식을 권장합니다.

아래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2.1      /etc/sysconfig/network 설정파일

2.2      /etc/resolv.conf 설정파일

2.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설정파일

2.4      /etc/rc.d/init.d/network  실행명령

2.5      유동IP (DHCP) 설정
 

 

2.1    /etc/sysconfig/network 파일 설정

   리눅스서버의 hostname 변경, 네트워크 활성화(yes/no)를 위한 설정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바로 적용되지 않고, 서버 재시작 또는 네트워크 재시작 명령으로 동작합니다.

 

[myname@myhost ~]# cat /etc/sysconfig/network
NETWORKING=yes
NETWORKING_IPV6=no
HOSTNAME=myserver
GATEWAY=101.102.103.1

NETWORKING=yes

네트워크를 활성화(yes), 비활성화(no)를 설정합니다.

 

NETWORKING_IPV6=no

 IPv6 통신 지원을 yes/no 로 설정합니다.

 

HOSTNAME=MYSERVER

 시스템의 hostname을 설정합니다.

 

GATEWAY=101.102.103.1

 서버의 default gateway를 지정합니다.

각 이더넷 설정파일에서 게이트웨이를 각각 지정하지 않는 다면, 이 정보가 기본으로 적용됩니다.

각 이더넷 설정파일에서 게이트웨이를 관리한다면 이 항목은 생략할 수 있습니다.

   

2.2    /etc/resolv.conf 파일 설정

 

시스템의 hostnamedns 서버를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myname@myhost ~]# cat /etc/resolv.conf
nameserver 164.124.101.2
nameserver 168.126.63.1
[myname@myhost ~]# 

  

참고 주요 인터넷 사업자별 DNS 대표 주소

     SK브로드밴드
        기본 : 221.139.13.130, 보조 : 210.94.0.73
    
KT
       
기본 : 168.126.63.1,  보조 : 168.126.63.2
    
LG 유플러스
       
기본 : 164.124.101.2, 보조 : 203.248.252.2
   
구글
       
기본 : 8.8.8.8, 보조 : 8.8.4.4
   
클라우드 플레어
       
기본 : 1.1.1.1, 보조 : 1.0.0.1

 DNS 서버 주소는, 이 시스템이 domain 주소로 어떤 정보를 이용할 때 쓰이는 정보로, 이 시스템이 사용하는 인터넷회선 사업자 또는 IDC사업자가 추천하는 정보를 이용하면 되고, 모른다면 위 정보중에서 선택하여 이용하면 됩니다.

 

2.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 설정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에 네트워크 정보를 설정하는 파일입니다.
장치명은 시스템에 따라, eth0, eth1, encap1, encap2 등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니, 먼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확인해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BROADCAST, NETMASK, NETWORK, IP ADDRESS 정보가 맞게 설정되어야 정상적인 IP 통신이 가능합니다.

시스템에 등록된 이더넷 설정파일들은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 내에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을 모른다면, 아래 명령들중에서 가능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nmcli d
DEVICE   TYPE        STATE         CONNECTION
eth0      ethernet    connected     system eth0
lo        loopback    unmanaged   --

#
# ifconfig -a   (
또는 # ip a)
eth0: ……
lo: ……

 

 장치명 eth0 의 파일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myname@myhost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DEVICE=eth0
BOOTPROTO=static
BROADCAST=101.102.103.127
HWADDR=A4:BA:DB:55:BB:FF
IPADDR=101.102.103.75
NETMASK=255.255.255.128
NETWORK=101.102.103.0
ONBOOT=yes
[myname@myhost ~]# 

 

  설명

       DEVICE=eth0
      
     설정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이 eth0 임을 지정합니다.
            파일명의 표기와 맞춰야 합니다.

      BOOTPROTO=static
           고정 IP(static) 또는 유동IP(dhcp) 사용여부를 설정합니다.

      BROADCAST=101.102.103.127
           해당 IP가 속한 네트워크의 브로드캐스트 IP주소입니다.
 

      HWADDR=A4:BA:DB:55:BB:FF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MAC 주소를 설정하며, 대부분 자동 설정됩니다.

      IPADDR=101.102.103.75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의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NETMASK=255.255.255.128  
         서브넷마스크 IP 주소를 설정합니다.

      NETWORK=101.102.103.0  
        네트워크 주소를 설정합니다.

     GATEWAY=101.102.103.1  
        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이 항목을 설정하지 않으면,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 지정된 게이트웨이 정보가 적용됩니다. 

     ONBOOT=yes
        시스템 부팅시에 이 설정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를 선택합니다.

 

2.4  실행 명령(네트워크 설정 적용)    

     # /etc/rc.d/init.d/network restart

     또는

     # service network restart

     서버 시스템을 재시작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설정만을 재시작하는 명령입니다.
   
이 명령을 실행하거나, 서버 시스템을 재시작해야 설정파일에 작성한 내용이 적용됩니다.

 

 2.5 그 외, DHCP환경의 네트워크 설정 방법

    네트워크 환경이 고정IP를 사용하지 않고, 유동IP (DHCP ) 이용 환경이라면,
   
아래와 같이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는 ifcfg-eth0 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a.    /etc/sysconfig/network 파일의 설정

NETWORKING=yes

        b.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의 설정

DEVICE=eth0

BOOTPROTO=dhcp

ONBOOT=yes

     그 외 항목은 필요없고, 남겨두면 혼돈되니 삭제할 것을 권합니다.

    앞서 설명한, 실행 (네트워크 설정 적용) 방법을 실행하면 적용됩니다.

 

 

3. GUI 모드 (system-config-network) 로 네트워크 설정하기

 

GUI 화면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IP를 설정하는 방법이며, 아래 명령으로 GUI 설정화면을 실행합니다.

설정할 내용은 앞서 설명한 “2.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 파일(eth0 )으로 설정하기의 내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명령

#/usr/sbin/system-config-network

 

 

명령 스크립트 내용

# cat /usr/sbin/system-config-network

#!/bin/sh

 

If [ -n “$DISPLAY” -a -f /usr/sbin/system-config-network-gui ]; then

  exec /usr/sbin/system-config-network-gui “$@”

else

exec /usr/sbin/system-config-network-tui “$@”

fi

#

 

실행화면

# cat /usr/sbin/system-config-network

 GUI 화면 구성은 리눅스 버전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4.    X 윈도우 환경을 위한 네트워크 설정과 X 윈도우 실행

제 경우에는, linux cli 모드에서 네트워크 설정을 마친 후 X 윈도우 모드로 변경하여 사용하는 것이 편해서 이 방법을 설명합니다.

네트워크 설정은 앞의 2번 방법을 그대로 이용하고,
이후, X윈도우를 아래와 같이 실행합니다.

X윈도우 설치하기

# yum groupinstall “x window system”

# yum groupinstall “Desktop”

 

X 윈도우 환경으로 모드 변경  설정

# vi /etc/inittab

   id:3:initdefault

 id:5:initdefault 로 수정하고, 저장한다

 

# init 5

  실행하면 X11 윈도우 환경으로 시작하게 된다

 

터미널의 글자가 깨지는 경우

# sudo yum groupinstall “font”

 

 

X 윈도우 환경 준비의 상세 정보는 아래 자료를 참고하세요.
 
https://www.wikihow.com/Configure-X11-in-Linux

 

이상으로 네가지 네트워크 설정 방법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