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몇차례씩 주변에서 랜섬웨어 사고 소식을 접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는데, 평상시 철저하게 보안 솔루션을 사용하는대도, 잠깐의 방심으로 인해 랜섬웨어에 걸렸다는 얘길 듣곤 한다.
랜섬웨어 걸렸을 때 응급조치방법과 랜섬웨어 예방방법을 알아보자.
1. 백업을 해두지 않아서, 랜섬웨어 걸린 컴을 포기할 수 없다면,
기업이라면,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민원센터, Tel: 118, boho.or.kr)에, 개인이라면, 경찰청 사이버안전국(Tel: 02-3150-2659,cyber.go.kr)에, 위 전문가에게 먼저 먼저 연락해서 도움을 청해보자.
정부기관보다는 일반사업자인 전문가들의 도움을 받고 싶다면, 한국랜섬웨어침해대응센터 를 운영하는 보안전문 솔루션 기업들도 있다.
랜섬웨어의 종류가 많이 알려지고, 변종이 아니라면, 100% 복구는 안되더라도 일부라도 복구할 방법이 있을 가능성이 있다.
랜섬웨어가 변종이고 최신 기법으로 만들어진것이라면 도움을 못받을 수도 있다. 그럴땐 해커에게 돈(비트코인 등)을 주고 복구툴을 받는 방법밖에 없는데, 이마저도 100% 복구는 안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자. 그리고, 한번 뚫린 경로는 해커가 또 뚫고 들어올 수 있다. 해커에게 돈을 지불해서, 해커의 활동비를 보태주면, 그 활동비를 이용해서, 해킹 시스템을 확장하고, 또 어딘가에서 해킹 피해를 유발하며, 다시 나를 해킹하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으니, 악순환의 반복이 되지 않을까.
2. 랜섬웨어 걸린 컴을 포기할 수 있다면,
중요 데이터가 백업이 되어있다거나, 데이터를 포기해도 큰 피해가 아니라면, 과감하게 컴을 포기하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 PC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서 안전한 방법으로 디스크를 포맷하고, PC의 보안상태를 강화해서, 소는 잃었지만 외양간을 고쳐서 쓰자. PC 전문가의 도움을 받기 어렵고, 해킹당한 디스크를 다시 사용하는게 불안하다면, 디스크를 파쇄시키고, 새 디스크로 PC 새로 설치하자. 그리고, PC 보안상태를 강화하자.
3. PC보안상태를 강화해보자.
윈도우서버라면, 첨부한 "서버용 보안취약점 점검 가이드"를 이용해서 세팅할 수 있다. 윈도10 등 PC라면, 첨부한 "윈도10PC의 보안점검가이드"를 이용해서 세팅할 수 있다. 해커침투시 주변 PC로 파급이 빠르게 되는 SMB프로토콜로 PC간 파일공유나 폴더공유는 안하는 것이 좋다.
4. NAS 또는 클라우드를 활용하자.
사내 협업 업무를 위해 공유해야만 하는 데이터는, 백업과 보안기능이 있는 NAS시스템을 사용하거나, GOOGLE이나 OFFICE 등의 클라우드 드라이브를 사용하자.
NAS시스템에는 백업 복구 기능이 있고, 바이러스 차단 기능과 IP Address 제한 기능이 있으면 더 좋겠다. 클라우드 드라이브는 파일의 저장 방식이 달라서 랜섬웨어에 걸릴 확률이 낮고, 버전기능이 있다면 이전 버전의 파일 상태로 복원도 할 수 있다.
5. 윈도 OS가 아닌 PC의 보안점검 방법
윈도OS가 보급율이 높고, 취약점이 많기때문에 타OS에 비해 랜섬웨어나 바이러스 등 해커의 공격 타겟이 더 많이 되는 것이 현실이다. 그렇더라도 맥북, 리눅스 등 윈도OS가 아닌 PC의 경우에도 보안 취약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보안점검과 관리는 필요하다. OS 공급자가 제공하는 최신 업데이트 및 패치를 정기적으로 확인하고, 적용해야 한다. 방화벽과 백신 프로그램이 있다면 설치하고, 윈도와 동일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다.
사족, 백신도 있고, 방화벽도 있고, 전문엔지니어도 있어도, 랜섬웨어에 걸려서 고생할 수가 있다. 해커는 최신의 보안취약점이 발견되면 백신업체 보다 한발 더 빠르게 활용해서 작업하려하기 때문에. 나름대로 문서를 보면서 보안설정을 했지만, 그래도 불안하다면, ... 댓글을 상세히 남겨주면 전문가를 소개해줄게요. 힘내세요.
사족2. 내가 랜섬웨어 걸려본적이 없어서 써보지는 않았지만, 많이 알려진 랜섬웨어의 복구툴을 제공하는 곳이 있어서 소개링크를 남겨둔다.
장애 증상은, 어느날 갑자기, 서버 전원이 저절로 꺼져버립니다. 전원버튼을 눌러서 Power On을 하면, 잠시 후 다시 꺼집니다.
서버가 켜졌을 때 로그들을 살펴보니, "Power key pressed" 그리고, "Powering Off" 메시지가 나타나면서 서버가 꺼집니다.
$ sudo cat /var/log/messages | grep Power
Jun 15 14:20:33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4:20:33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ing Off...
Jun 15 14:35:04 localhost kernel: input: Power Button as /devices/LNXSYSTM:00/LNXPWRBN:00/input/input0
Jun 15 14:35:04 localhost kernel: ACPI: Power Button [PWRF]
Jun 15 14:35:10 localhost systemd-logind: Watching system buttons on /dev/input/event0 (Power Button)
Jun 15 14:46:27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4:46:27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ing Off...
Jun 15 14:54:14 localhost kernel: input: Power Button as /devices/LNXSYSTM:00/LNXPWRBN:00/input/input0
Jun 15 14:54:14 localhost kernel: ACPI: Power Button [PWRF]
Jun 15 14:54:20 localhost systemd-logind: Watching system buttons on /dev/input/event0 (Power Button)
Jun 15 15:47:19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5:47:19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ing Off...
원인은, 서버 전원모듈 어딘가에 고장이거나, 전원부 케이블 커넥터 불량이 의심됩니다. 하드웨어 A/S를 받아야하지만, 이중화되어 있지않은 싱글 서버이다보니, 서비스를 어떻게든 살려야 했습니다.
임시조치로, Power key 메시지를 OS에서 무시하는 옵션을 사용해봅니다.
$ sudo vi /etc/systemd/logind.conf
HandlePowerKey=ignore
$
또는
$ sudo echo "HandlePowerKey=ignore" >> /etc/systemd/logind.conf
그리고, 서비스 데몬을 재시작합니다.
$ sudo systemctl restart systemd-logind
결과는 . . . 성공적입니다. Power key pressed 메시지는 계속 발생하지만, Powering Off 메시지는 더이상 발생하지 않고, 서버 전원이 꺼지지 않습니다.
$ sudo cat /var/log/messages | grep Power
Jun 15 17:03:50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8:59:16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9:02:15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9:10:08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9:23:13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19:27:22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0:45:27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1:51:18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2:57:40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00:03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03:40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09:34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12:33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18:06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20:43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5 23:22:07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6 00:02:25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6 00:23:59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Jun 16 00:35:15 localhost systemd-logind: Power key pressed.
. . .
하지만, 서버 상태는 여전히 고장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당분간은 이 상태로 서버를 살려두고, 하드웨어 A/S 신청을 하고, 서버교체 일정에 맞춰 작업 공지를 띄웠습니다.
a few hours later . . . .
작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길에~ 서버 엔지니어의 가상현실 "스탯창"에 알림이 뜹니다.
I have experienced WIFI connection problems when using GlobalProtect VPN app on IPAD.
When I ran GlobalProtect's Sign Out to finish using the VPN, the WIFI icon was turned off, and there was a problem that I couldn't browse the Internet after that.
Here is how to use the workaround for this problem.
instruction :
At first, the VPN is connected.
Obviously, WIFI and VPN icon is enabled.
GlobalProtect VPN and WIFI are ON
Now, If you want to VPN off normally,try 1st,Setting > General > VPN > Status --> try to turn "ON/OFF"
how to disconnect the VPN - 1try 2nd, if WIFI icon does not appear,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는 apache를 이용하지만, 인증서 설정은 bitnami 환경설정에 작성해야 한다.
절차는,
1. 인증서 파일을 특정위치에 업로드/복사
- 업로드/복사 방법은 scp, ftp, wget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겠다. 자세한 방법은 생략한다.
2. bitnami.conf 파일에 인증서파일 위치를 지정
- https를 사용할테니, 443 설정부분에 SSL...예제설정이 들어있는데, 이 부분을 수정해준다.
$ sudo vi /opt/bitnami/apache2/conf/bitnami/bitnami.conf
# bitnami.conf
...
<VirtualHost _default_:443>
DocumentRoot "/opt/bitnami/apache2/htdocs"
SSLEngine on
# SSLCertificateFile "/opt/bitnami/apache2/conf/server.crt" // --> 예제설정을 comment 처리
# SSLCertificateKeyFile "/opt/bitnami/apache2/conf/server.key" // --> 예제설정을 comment 처리
SSLCertificateFile "/opt/bitnami/apache2/conf/www.doremifa.com_crt.pem" // --> crt 파일 등록
SSLCertificateKeyFile "/opt/bitnami/apache2/conf/www.doremifa.com_key.pem" // --> key 파일 등록
SSLCACertificateFile "/opt/bitnami/apache2/conf/www.doremifa.com_fullchain.pem" // --> chain 파일 등록
// 패스워드없는 인증서의 경우에는 chain 파일 등록이 필요없을 수도 있다
...
3. apache 재시작
$ sudo /opt/bitnami/ctlscript.sh restart apache
4. 확인
- https 도메인 주소를 웹브라우저에서 열었을 때, 주소창 옆에 자물쇠모양(secured mark)이 표시되면 정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