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데이트된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 https://ramenshin.tistory.com/184
IP 주소 할당 및 네트워크 설정/변경 하는 방법
방법으로는 4가지가 존재합니다.
1. ifconfig 를 이용하여 특정 이더넷의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
2.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3. system-config-network 유틸리티를 이용하여 X 윈도우 환경 네트워크 설정방법
4. X 윈도우 환경에서 네트워크 설정과 새로운 이더넷 추가방법
이렇게 4가지가 존재하는데 여기서는 1 번과 2 번의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ifconfig 를 이용하여 특정 이더넷의 네트워크 설정하는 방법
다음 그림은 리눅스시스템 네트워크 설정을 ifconfig 명령을 통해 본 것입니다.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IP 주소, subnet mask, broadcast 주소, MAC 주소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myname@myhost ~]$ ifconfig |
위 그림에서 설정값을 한줄의 명령어로 IP주소와 subnet mask, broadcast 주소 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명령어 형식
]# ifconfig [NIC 장치명] [IP 주소] netmask [서브넷마스크 주소] broadcast [브로드캐스트주소] up
]# ifconfig eth0 101.102.103.75 netmask 255.255.255.128 broadcast 101.102.103.127 up
위의 예는 ifconfig 를 이용하여 eth0 라는 이더넷에 대해 IP 주소를 101.102.103.75, netmask 주소를 255.255.255.128, broadcast 주소를 101.102.103.127 로 설정하고 마지막으로 eth0 이더넷을 활성화하기 위해 up 이라는 추가 옵션명령어를 주어 실행한 것입니다.
하지만 한가지 꼭 명심해야 할 점이 있는데, 이 방법으로 IP 주소를 변경하면,
물리적으로 변경된 것이 아니라 시스템메모리 상에 로딩된 리눅스 커널이 사용하고 있는 랜카드 드라이브 의 네트워크 설정이 바뀐 것일 뿐입니다.
따라서, 시스템메모리의 내용은 휘발성으로 재 부팅을 하고나면 이러한 설정은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재부팅 후에도 변경된 값들이 지속되게 하려면 다음의 방법을 이용하여야 합니다.
2.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하는 방법
이 방법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가장 중요한 설명이므로 정확히 이해하여야 합니다.
네트워크 설정 파일에는 여러가지의 파일이 있습니다.
--------------------------------
1) /etc/sysconfig/network
2) /etc/resolv.conf
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4) /etc/rc.d/init.d/network
--------------------------------
1) /etc/sysconfig/network
리눅스시스템 HOSTNAME 을 변경하고, 네트워크를 활성화하는
설정파일입니다.
이 파일은 시스템이 부팅될 때에 자동으로 읽혀지는 파일이기 때문에 이 설정값을 적용하려면 서버를 REBOOT하거나 NETWORK RESTART 하여야 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myname@myhost ~]# cat /etc/sysconfig/network |
NETWORKING=yes
시스템이 네트워크를 활성화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설정입니다.
no 라고 되어있을 경우 비활성화되고, yes 라고 되어있을 경우 활성화된다는 의미입니다.
NETWORKING_IPV6=no
IPv6 기반의 통신 지원여부를 묻는 설정항목입니다.
yes 라면 지원, no 라면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HOSTNAME=MYSERVER
시스템의 호스트네임을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GATEWAY=101.102.103.1
이 시스템의 Global 한 기본 게이트웨이 설정항목 입니다.
즉, 각각의 이더넷 설정파일에 별도로 지정되지 않은 기본 게이트웨이는 여기 이 파일에서 설정한 기본 게이트웨이로 지정된다는 의미입니다.
(각 이더넷 설정파일에서 게이트웨이를 관리한다면 여기서 GATEWAY 설정은 없어도 됩니다)
2) /etc/resolv.conf
이 파일은 시스템 호스트네임 설정과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기 위한 파일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myname@myhost ~]# cat /etc/resolv.conf |
Kt DNS = kns.kornet.net ( 168.124.101.2 )
Dacom DNS = ns.dacom.co.kr (
164.124.101.2 )
Hanaro DNS = ns.hananet.net (
210.180.98.85 )
nameserver 에 지정된 IP 주소는 현재 이 시스템에서 사용할 1차 DNS 서버와 2차 DNS 서버의 IP 주소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시스템에서 사용할 1차 또는 2차 네임서버 IP 주소를 변경하고자 할때 이 파일을 열어서 원하는 네임서버의 IP 주소를 지정하면 됩니다.
3)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현재 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모든 이더넷 설정파일들이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 내에 존재합니다.
현재 시스템의 IP 주소를 변경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설정파일 입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myname@myhost ~]# cat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
DEVICE=eth0
이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명이라 할수 있겠습니다.
이 외에도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를 추가할 경우, eth1 로 보여지게 된다는 것을 아셔야 합니다.
BOOTPROTO=static
고정 IP를 사용할 시에는 static 으로 설정하고 유동 IP를 사용할 시에는 dhcp 로 설정합니다.
BROADCAST=101.102.103.127
동일 네트워크 내에서 전체 호스트에 보내는 브로드캐스트 IP주소를 지정하는 것으로, 위에서 보여지는 IP 주소는 101.102.103.75 입니다.
그러므로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01.102.103.127 가 되겠지요.
HWADDR=A4:BA:DB:55:BB:FF
해당 이더넷의 MAC 주소를 나타내는 항목입니다.
IPADDR=101.102.103.75
해당 이더넷의 IP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IP 주소를 변경할 시에는 이 부분을 변경하시면 되겠습니다.
NETMASK=255.255.255.128
해당 이더넷의 서브넷마스크 IP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NETWORK=101.102.103.0
해당 이더넷이 속한 네트워크 IP 주소를 뜻하는 항목입니다.
GATEWAY=101.102.103.1
기본 게이트웨이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이 항목이 없거나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서 지정된 기본 게이트웨이 주소로 설정이 됩니다.
ONBOOT=yes
시스템 부팅시에 해당 이더넷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의 여부를 설정하는 항목입니다.
위의 여러 항목들 가운데 IP 주소만을 변경해야 한다면 IPADDR 항목에 IP 주소를 변경하면 되지만,
네트워크 주소까지 모두 변경을 해야한다면, 그에따른 BROADCAST, IPADDR, NETMAK, NETWORK 의 4가지 항목을 모두 변경해야 한다는 것을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NM_CONTROLLED=yes
Will have your network interface be managed the NetworkManager daemon.
NM_CONTROLLED=no
Will have your network interface be managed the old way. It means fully configured by the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X files.
I personnaly prefered the second option in servers, but the first one in desktop or laptop as it manages very well the wireless network interface.
UUID= (UUID란? --> 범용 고유 식별자 Universally Unique Identifier)
NFS 에서 자동 마운트 설정할 때 이용한다고 한다.
$ ls -l /dev/disk/by-uuid/
위 명령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출력이 됩니다.
합계 0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3C986B2F986AE6BC -> ../../sdb1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4E8C66928C66747D -> ../../sdb2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6A3CFD903CFD5791 -> ../../sdc1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7730c540-4605-4d87-88dc-760bb9a37ef5 -> ../../sda3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CC24EA6124EA4E50 -> ../../sda1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E8F85FF8F85FC38A -> ../../sdc2
lrwxrwxrwx 1 root root 10 2008-04-25 23:10 dc464f65-6885-46e8-a7a0-91960d71ab8c -> ../../sda4
4) 실행 : /etc/rc.d/init.d/network
위에서 변경한 사항을 현재 시스템에 재부팅 하지않고 적용하기 위해 사용하는 스크립트 파일입니다.
즉, 간단히 정리하자면 현재 시스템의 IP 주소나 네트워크 설정을 변경하여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etc/rc.d/init.d/network 스크립트를 restart 한다 라는 것입니다.
5) 위의 IP 수동설정을 무시하고, DHCP로 IP를 받고 싶다면,
DHCP 클라이언트를 수동으로 설정하시려면 /etc/sysconfig/network-scripts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개별 네트워크 장치에 대한 네트워킹과 설정 파일을 활성화하도록/etc/sysconfig/network 파일을 수정하셔야 합니다. 이 디렉토리에 있는 각 장치는 ifcfg-eth0 (여기서 eth0는 네트워크 장치명을 의미) 설정 파일을 가지고 있습니다.
/etc/sysconfig/network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줄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NETWORKING=yes |
이 파일에는 더 많은 정보가 포함되어 있지만, 부팅 시 네트워킹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NETWORKING 변수를 yes로 설정하셔야 합니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파일에는 다음과 같은 라인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DEVICE=eth0
BOOTPROTO=dhcp
ONBOOT=yes |
DHCP를 사용하도록 설정할 개별 장치마다 설정 파일이 필요합니다.
RESTART하기,
이제 변경된 설정사항을 다음과 같이 스크립트를 restart 하는 명령을 사용하여 재시작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아래의 두 명령은 의미가 같다는 것을 숙지하셔야 합니다.
]# /etc/rc.d/init.d/network restart
]# service network restart
이제 다시 ifconfig 명령을 사용하여 IP 주소가 변경이 되었는지 확인을 해보세요.
* 참고 : 무선랜 http://xdsky.egloos.com/1220205
'블라베 IT world > Linux Docu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 : firewall 설정 (0) | 2013.04.16 |
---|---|
Centos 5/6 설치후 라이브러리 설치 (0) | 2013.04.16 |
Net 명령어 LIST 및사용법 (0) | 2013.02.13 |
유닉스/리눅스 명령어 레퍼런스 (0) | 2013.02.13 |
리눅스보안스터디 노트 (0) | 2013.02.13 |